Doit 자료구조와 함께 배우는 알고리즘 기초 파이썬 편
0120 swjungle 🤖의 일환으로 학습한 자료를 정리한 문서입니다.
- 구조적 프로그래밍: 순차구조(sequential)와 선택(selection)구조, 반복(iteration)구조
- 순차: 한 문장씩 처리
- 선택: 조건에 따라 실행 흐름 변경
- 반복: 조건이 성립하는 동안 주어진 구간의 코드를 반복
- 카운터용 변수 (
cnt
,counter
, ...): 반복문을 제어할 때 사용되는 변수
- 카운터용 변수 (
- 형변환 to integer, floating point
int(문자열, 진수)
,float(문자열)
- 헤더와 스위트(suite) {python}
- What is the algorithm?
-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술된 일련의 실행절차
- Decision Tree (결정트리)
- 세 정수 a, b, c의 대소관계조합을 모두 나열해보면 트리형태를 띄게 된다. 이것을 결정트리라고 부름.
- DRY (Don't Repeat Yourself)
- DRY 메커니즘의 예시: 하드코딩을 피하라 reverse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 {django}
- 논리적으로 일치하는 분기문을 갖다 쓰지 말라.
if a < b: ... \n elif b >= a: ...
이딴거 쓰지 말라는 거임 p.25 - 9999번 A 분기에 들어가고 1번 B 분기에 들어갈거면 if 쓰지 말라. p.38
- 파이썬은 배열을 각각 리스트와 튜플로 구현할 수 있다. 리스트는 변경이 가능하고, 튜플은 변경이 불가하다는 차이가 존재하다.
- [?] p.42 ~ p.44 for 문 안에 있는 if문이 무의미한 경우 (1억번 중 1억번 같은 브랜치) 파이썬은 내부적으로 분기예측을 통해 최적화를 하는가? ^8px73d
if
구문에서else
를 쓰지 않으면 내부적으로else: pass
가 숨어있다.- 연산자와 피연산자, operator, operand. 용어파악
- 삼항 연산자 (ternary operator) :
x if x < y else y
- 삼항 연산자 (ternary operator) :
- swap:
a, b = b, a
개쩔지 아니한가 :사실 튜플 공간을 만들어 쓰는거라서... 변수를 하나 생성하여 스왑하는 것보다 비효율적임튜플은 레퍼런스를 담을 공간이다. - str
*
연산자는 문자열을 복제하여 리턴한다. - 파이썬의 모든 변수는 값을 저장하지 않는다. p.56
- 파이썬에서의 모든 건 객체이고, 변수는 그 객체를 참조하는 참조자에 불과. 엄밀한 의미에서의 포인터는 아니지만 고유식별번호가 있어
id()
를 사용하여 이를 찍어볼 수 있다.
- 파이썬에서의 모든 건 객체이고, 변수는 그 객체를 참조하는 참조자에 불과. 엄밀한 의미에서의 포인터는 아니지만 고유식별번호가 있어
- [?] 파이썬이 언제 메모리를 비우는가??
- [?] range 음수 갭을 주었을 때 실험해보자.
Chapter02 기본 자료구조와 배열#
- DRY (Don't Repeat Yourself)
- 배열은 프로그램을 덜 수정하기 위해 도입된 개념이다. p.62 집계, 인덱싱, 정렬, 해싱 등을 활용할 때 세부적이지 않은 사항인 원소의 개수에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.
tuple()
,list()
함수를 사용하면 순회 가능한 모든 놈들을 전부 리스트로 만들 수 있다.- 튜플은 불변성에 높은 가치를 두어야 할 것 같다.
- 누적 대입:
int
,str
같은 리터럴들은 값이 변하지 않는다. 1이 갑자기 2가 되거나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. 그렇다면 우리가 리터럴을 저장한 변수에+=
과 같은 연산을 통해 값이 변하게 만드는 것은 무엇이냐? 단순히 리터럴 1에서 리터럴 2로 참조자를 변경한 것에 불과하다.- [!] 그건 그렇고 무한한 정수를 전부 메모리에 담을 수 없는데, 정수형 리터럴은 그럼 일종의 바운더리가 있는걸까? ==> 맞기는 한데, 바운더리의 범위는 IDE나 인터프리터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.
- statement and expression
- 자료구조 (Data Structure)는 데이터가 모여있는 구조이다. 데이터가 어떻게 모여있는지는 궁금해 하지 않도록 적당히 추상화를 했다. 따라서 자료구조는 추상 자료형 (Abstract Data Type)이다.
-
배열의 대소, 등가관계
[1, 2, 3] == [1, 2, 3] [1, 2, 3] < [1, 2, 4] [1, 2, 3] < [1, 2, 3, 5]
-
typing.Sequence
: list, bytes, bytearray, string, tuple - custom iterator with iter in python
- call by object reference {python}
-
소수 나열 p.97 예상시간 15min
교재에 나온 방식이 내가 알고 있던것과는 사뭇 다르다. 적어도 책에서는 아리스토테네스의 체를 사용하지 않는다. 수도코드를 작성해보면..primes = [2] for n in range(3, MAX, 2): for p in primes: if n % p == 0: break else: primes.append(p)
for문 끝나자마자 else가 나타나는 것은 처음 봤다. Why does python use 'else' after for and while loops
어쨌든 소수를 찾을때엔 primes
의 모든 원소를 찾아야 하니 \(\Pi(N)\)정도의 시간이 걸린다. Prime Counting Function 참고{wiki} 조금만 더 최적화를 한다면 굳이 primes
의 모든 원소를 찾을 필요는 없고, 제곱근 정도의 시간만 소요되게 만들 수 있겠다. 그리고 MAX
까지 달려갈 때 모든 짝수를 제외할 수 있으므로....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대충..
이...렇......게? 되려나? \(\Pi\)가 대충 로그정도의 속도를 가지고 있다고 하니까 조금만 더 멍청하게 생각한다면 \(O(N \log{\sqrt{N}})\) 정도.....?? 그냥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를 사용해서 메모리는 많이 먹어도 \(O(N)\)에 끝내는 방법이 더 현명해 보이기도 하지만 일단 머리속에 입력은 해두자.
Chapter03 검색 알고리즘 :: 이진검색 / 이분검색#
- 이진검색 p.120 예상시간 30min
binary search를 활용한 lower upper bound 그리고 parametric search까지 {Notion export}
파이썬에선 index()
함수로 리스트, 튜플 내 원소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.
- meta: 2023-08-12T15:00:41
- 지금까지 나간 진도,
- Ch02 p.61 ~ Ch03 p.130
- 15:00~17:00 스프린트에서 나갈 진도,
- Ch05-03 하노이의 탑 p.200
- Ch05-04 8퀸 문제 p.204
- Ch06-1 정렬 알고리즘 p.219
- Ch06-02 버블 정렬 p.221
- 오늘 밤까지 끝낼 진도,
- Ch06-03 단순선택정렬 p.237
- Ch06-04 단순삽입정렬 p.240
- from: Ch06-05 셀 정렬 p.247
- to: Ch06-09 도수 정렬 p.297
- 일요일까지 끝낼 진도
- from: Ch09-01 트리 구조 p.377
- to: Ch09-02 이진트리와 이진 검색 트리 p.382
- 지금까지 나간 진도,
Chapter05 재귀 알고리즘#
문제풀이는 전부 algorithms 페이지에서 진행함.
-
하노이의 탑: p.200
-
8퀸 문제: p.204
8개의 퀸이 서로를 잡을 수 없도록 8 * 8 체스판에 배치하시오
-
meta
- 본격적으로 읽기속도가 더뎌지기 시작했다. 기초개념에서 시간을 많이 쏟지는 않았을까 걱정이 되기는 하지만 그래도 몰랐던 것들도 많이 알게 되고, 내가 알고 있던 것들도 많이 공유하고 해서 최선을 다했다는 생각만 가지고 가자.
- 예상과는 다르게 책을 주말 안에 다 못 읽을 것 같다. 현재 재귀쪽에서 머물면서 관련 문제들을 몽땅 풀었고, 그래도 브루트포스/전수조사를 재귀함수로 푸는 것에 대한 감은 다시 되찾은 것 같다.
- 지금 팀원 한 분이 몸이 아파서 자리에 없다. 진도를 뺄 상황은 아닌 것 같은데, 열심히 문제를 풀어야 겠다.
Chapter06 정렬 알고리즘#
- 안정성(stability): 정렬을 수행한 후에도 값이 같은 두 원소들의 순서가 변하지 않는 경우, 해당 정렬을 안정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.
-
내부정렬과 외부정렬: 하나의 메모리 공간 안에서 모든 정렬을 수행할 경우, 내부정렬이라고 하고, 그렇지 않은 경우(정렬할 데이터의 양이 너무 많은 경우) 파일 시스템을 활용해가며 정렬을 수행하게 되는데, 이것을 외부정렬이라고 부른다.
-
버블정렬 p.221
- 단순 버블정렬 구현만 보여준 게 아니라 한 바퀴 순회할 때마다 이미 정렬이 된 부분에 대하여 비효율적인 반복을 피하기 위해 최적화 작업을 수행하는 모습이 나온다. 이게 아니었으면
i = 0, 1, 2, ...
순으로 진행했을텐데, 스왑을 안했다는 소리는 곧 정렬이 완료됐다는 소리나 마찬가지기 때문이다.
```python from typing import MutableSequence
def bubble_sort(a: MutableSequence) -> None: """버블정렬(스캔 범위를 제한)""" n = len(a) k = 0 while k < n - 1: last = n - 1 for j in range(n-1, k, -1): # 거꾸로 버블소트 if a[j - 1] > a[j]: a[j - 1], a[j] = a[j], a[j - 1] last = j # 바로 여기서 점프할 인덱스를 지정한다 k = last ```
- 칵테일 셰이커 정렬이라고, 거의 완료된 정렬
[9, 1, 2, 3, 4, 5]
에 대하여 위의 코드는 사실 \(N^2\)의 시간복잡도를 보인다. 왜냐면 점프할 인덱스가 항상 한 칸씩만 당겨오기 때문이다. 그래서 한 번은 우에서 좌로 훑고, 다른 한 번은 좌에서 우로 훑어 해당 현상을 없앤다. - 단순 선택 정렬 p.237
- 순회를 하면서 매번 가장 작은 원소를
[0]
번째 원소와 스왑. 덕분에 unstable하다. - 단순 삽입 정렬 p.240
- 정렬이 완료된 구간을 늘려나가는 방식의 정렬방법.
from typing import MutableSequence def insertion_sort(a: MutableSequence) -> None: n = len(a) for i in range(1, n): j = i tmp = a[j] # 스왑하지 않고 tmp로 값을 보관하는 이유는 a[j, j-1, ...] 자리에 그대로 값을 박을거기 때문이다. while j > 0 and tmp < a[j-1]: a[j] = a[j-1] j -= 1 # 이 아래는 볼 필요도 없이 정렬되어있다. a[j] = tmp
- 단순 버블정렬 구현만 보여준 게 아니라 한 바퀴 순회할 때마다 이미 정렬이 된 부분에 대하여 비효율적인 반복을 피하기 위해 최적화 작업을 수행하는 모습이 나온다. 이게 아니었으면
-
이진 삽입 정렬 p.244
- 단순 삽입 정렬 알고리즘은 정렬되지 않은 구역을 순회하며 책을 꽂듯이 삽입했다면, 이진 삽입 정렬은 정렬된 구역을 이진탐색하여 그 사이를 비집고 밀어넣는다.
- 하지만 bisect.insort 문서에 조언에 따르면, 검색에 아무리 \(O(\log {N})\) 시간이 걸렸더래도 삽입하는 데에 \(O(N)\)의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주의하라고 한다.
- 셸 정렬 p.247
- 단순 삽입 정렬의 장점을 살리면서 많은 데이터 이동을 줄이기 위해 고안된 방법
- 퀵 정렬 p.257
- 병합 정렬 p.277
- **힙 정렬 p.286
- [[Heap|힙]]
- 루트를 삭제하고 힙을 재구성
- heapify: bottom-up 방식으로 가장 아래에 있는 서브트리부터 차례로 힙 트리로 만든다.
- 도수 정렬(Counting Sort) p.297
- 누적도수분포표를 만든다 (누적 히스토그램)
- 정렬할 리스트를 순회하며 누적도수분포표가 가리키는 인덱스에 원소를 넣고 누적도수분포표의 값을 1 줄인다.
- profit 💵
- 아, 도수정렬 (Counting Sort) {rust} {python}